먼저 이번 글은 그림이 하나도 추가가 안된다..
왜냐면 고객사에 설치 되어 있는 환경을 예를 들려고 해도..
그 고객사 파티션 정보가 유출 되기 때문이다.
그래서 말로 설명 하겠다.
DS Storage Manager를 실행 하자.
처음 사용자라면..겁먹지 말자...미안하다..약간만 겁 먹자..
초보자용 개념만 알면 생각보다 쉽다.
파티션은 이미 구축 되어 있다면 증가 시키는건 어렵지 않다..
그러나 파티션을 날리지 않고 축소는 안된다...
이러한 경우는 파티션을 다 날리고 다시 필요한 만큼의 파티션을 만들어야 한다.
이 개념만 알면 된다.
예를 들어 A 라는 Array 안에 A-1, A-2, Free Capacity 가 있다고 가정하자
A-1은 300G, A-2는 400G, 그리고 Free Capacity에는 500G 있다고 가정하자
여기서 A-1를 200G로 줄이고 싶다라면, 이 파티션을 날려야 한다..다른 방법 없다..날려야 한다..
즉, 백업을 하고 난 후 파티션을 날리자. 이말은 서버에서 파티션을 날리는게 아니라, DS Storage Manager 에서 날려라는 말이다..
그러고 난 후, A-1을 200G로 재 구성 하면,
전체적인 구성이 A-1 =200G , Free Capacity = 100G, A-2 = 400G, Free Capacity = 500G 이런 구성으로 나누어 진다.
---추가 방법---
여기서 용량을 증가시키면..시간이 좀 오래 걸린다.
만약 A-1에 50G 을 추가 한다면 A-1 만 읽고 추가 하면 되지만. 구성이 이상한 경우, 전체 디스크를 다 읽고 난 후 A-1 에 추가가 된다.
필자의 경우 50G 추가를 위해서 800G를 스캔 후 추가 되었다. 800G 스캔에 1시간 50분이 소요 되었고 50G 추가에 5분도 안걸렸다.
일단...파티션 용량 증가 작업을 할때는 작업 시간을 넉넉하게 잡도록 권유한다..
--------------
겁먹지 말자..
안해봤으면 데모 파일로 실행 하고 작업 하면 된다..
어렵지 않다...다만 많은 시간이 소모될 뿐이다..
'IBM Serv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사용중인 AIX버전 확인 방법 (0) | 2012.03.12 |
---|---|
x3650m3 장비에 그래픽 카드 추가 하기.. (0) | 2012.02.20 |
x3650m3 장비에서 CD-ROM 설치하기.. (0) | 2012.01.02 |
x3650m3 장비에 kvm 마우스 연결이 안된다면.... (0) | 2012.01.02 |
댓글